본문 바로가기
AI

KSampler의 속성을 알아보자

by KUROMI98 2025. 2. 25.

Seed

시드가 뭐냐 씨앗이다 씨앗. 즉 초기값.

AI 이미지를 생성하려면 태초부터 랜덤 노이즈가 필요한데, 이 랜덤 노이즈의 초기값이 바로 시드 되시겠다.

이 랜덤 노이즈의 초기값을 바탕으로 AI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것까지는 모두들 알 것이다

동일한 시드 값, 동일한 프롬프트 등 동일한 설정을 사용하면 항상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 시드 값을 바꾸면 다른 설정이 같아도 매번 다른 결과가 나온다.


Control after generate

이미지 생성이 끝난 후 특정 특징만 좀더 세밀하게 조정할 때 후처리하는 옵션. 

before 옵션은 초기 단계에서부터 조건을 반영하도록 설정하는 것.

after 옵션은 이미지를 일단 생성시켜놓고 후처리 단계에서 추가로 조건을 반영하도록 설정하는 것. 

(그냥 after로 놓고 쓰면 된다고 한다..)


Steps

디퓨전 프로세스를 몇 번 진행할지.

steps가 너무 많아지면 너무 사진이 뭉개지고, 처리 시간이 늘어나고, 부자연스러운 결과를 얻고

steps가 너무 적으면 사진에 노이즈가 너무 낀다.


CFG

텍스트 프롬프트를 얼마나 세게 적용시킬지

너무 높으면 프롬프트가 너무 과하게 적용되고, 너무 낮으면 프롬프트가 너무 덜 적용되어버린다


Sampler_name

이미지 생성할 때 쓸 샘플링 알고리즘의 종류를 지정

scheduler와의 조합에 따라서 값이 달라질 수 있으니 sampler + scheduler를 잘 선택하도록.


scheduler

노이즈의 제거 과정의 진행 방식.

sampler와의 조합에 따라 값이 달라질수도있다..

그래서 어떤 스케쥴러에 어떤 샘플러를 써야하는데?

> 직접써보면서 파악해야한다.. 알려주기 싫어서 이러는 게 아니라 진짜 세팅에 따라서 결과값이 다 달라서 직접 써봐야된단거

 


denoise

노이즈의 제거 강도. 최종 단계에서 노이즈를 얼마나 제거할지. 노이즈를 많이 제거하면 깔끔하지만 너무 뭉개진 사진을 얻고, 노이즈를 적게 제거하면 디테일이 살아 있지만 노이즈가 너무 많이 끼어 있는 사진을 얻는다.

댓글